여성분들이면 대부분 한 번씩 겪게 되는 임신과 출산! 하지만 아직 임신 경험이 없는 여성분들은 임신과 출산의 자세한 과정을 잘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남성분이든 여성분이든 한 번쯤 임신 32주 증상에 대해 알아보는 것은 좋은 경험이 될 거예요. 저도 임신 32주 증상이 궁금해서 여러 사이트를 뒤지며 검색해 봤는데요, 지인들과 제 경험을 통해 간단하게 얘기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임신 32주 시기에 태아와 어머니 모두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함께 알아보도록 합시다. 간단히 말해, 태아는 배 표면에서 보일 정도로 세게 발차기를 하며, 산모는 골반이 확장되기 때문에 몸을 움직일 때마다 '뚝뚝' 소리가 나는 고충을 겪게 됩니다. 또한 이 시기는 임신 기간의 말기이기 때문에, 말기로 접어들수록 행동이 둔해지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때는 출산 신호와 산모의 몸에 이상이 나타나는 증세를 구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임신 32주 시기의 태아의 반응을 좀 더 알아보겠습니다. 임신 32주의 태아는 간단히 말해 '기운이 넘친다' 라고 요약할 수 있습니다. 산모의 뱃속에서 손가락이나 발가락을 꼼지락거리는 것은 물론, 팔과 다리의 힘이 세져 팔을 굽혔다 폈다 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눈 안의 홍채가 발달하고 , 초점을 맞추기 위해 눈을 뜨거나 눈을 깜박일 수도 있습니다. 아! 그리고 이 시기에는 산모의 복부 표면에서 아기의 발차기를 볼 수 있다고 하네요.
다음으로 임신 32주에 접어든 산모의 증상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이 시기 산모는, 임신 호르몬이 방광과 엉덩이 근처에 있는 얇은 뼈의 관절을 확장시키고 약하게 하여, 척추 주변에 위치한 중요한 근육이나 인대에 부상을 입기 쉽다고 합니다. 그뿐만이 아닙니다. 방광이나 엉덩이, 허리 앞쪽 부분의 관절이 심하게 늘어나, 몸을 움직일 때 어긋난 관절 때문에 '뚝뚝' 소리가 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계속 이어가겠습니다. 임신 32주는 태아가 이전보다 크게 성장한 시기이기 때문에, 임산부의 자궁은 성장한 태아에 맞게 부풀어오릅니다. 이 때문에 자궁의 부피가 커져, 자궁이 산모의 몸 속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증가합니다. 결국 산모의 갈비뼈 하단까지 자궁이 부피를 키워, 가슴이 답답하고 소화가 순조롭지 않은 증상을 느낍니다. 일부 산모는 태아가 방광을 압박하여 소변을 자주 보고, 태아가 대장을 압박하여 생기는 변비를 호소하기도 합니다.
위에서 보았듯, 출산 예정일로 가면 갈수록 산모와 태아 모두 힘들어지기 마련입니다. 특히 임신 32주 증상의 경우 많은 산모들이 고통을 호소하는 증상이 많은데요. 이 시기에 대표적으로 산모님들이 많이 질문하는 것들을 모아 정리해 보았습니다. 제일 먼저 질문하는 것은 "왜 점점 행동이 둔해지는 것인가요?' 입니다. 답변은 "자연스러운 생리 현상이다."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임신 말기로 접어들수록 태아가 성장하여, 무게 중심이 임신 전보다 아래로 이동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임신 중 산모의 몸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인해 신체 관절이 느슨해지는 것도 이유 중의 하나입니다.
다음으로 질문하는 것은 "출산 신호와 신체적 이상을 구분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입니다. 사실 이 질문에 대한 답은 개인별로 천차만별이어서, 자신의 임신 중 특징에 맞게 스스로의 신체를 판단해야 합니다. 하지만 객관적인 지표로, 분비물에 피가 섞여 나오는 증세나, 시간 간격을 둔 규칙적인 통증은 분만의 징후 중 하나로 판단할 수 있다고 하니, 꼭 담당 의사와 자신의 증세에 대한 상담을 거치고, 병원에 내원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지금까지 임신 32주 증상에 대해 여러 가지를 알아보았습니다. 새 생명을 품는 임신은 분명 축하받아야 할 일이지만, 임신 과정에 동반하는 수많은 신체적 고통 때문에 힘들어하시는 산모님들이 많이 계십니다. 이 포스팅을 통해 자신의 증세를 되돌아보고, 심리적인 안정을 찾는 산모님들이 계시면 좋겠습니다.